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겨울철 주의 식중독 퍼프린젠스, 장염 증상

by 네여자집 2022. 1. 26.
반응형

겨울철 주의 식중독 퍼프린젠스, 장염 증상

 

 

아이들을 키워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계절별로 유행성 전염병이나 질병이 많이 돕니다.

특히나 가을, 겨울에는 유독 질병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퍼프린젠스 식중독'에 관한 정보 알려드리려고 하니 끝까지 잘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퍼프린젠스 식중독

 

 

최근 5년간 계절별로 퍼프린젠스 식중독의 발생 현황에 따르면 대체적으로 봄, 가을에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대향 조리한 음식을 가열 온도 미준수 등으로 부적절한 열처리나 보관/유통 등 관리가 소홀하기 쉬운 겨울철에도 발생할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퍼프린젠스 식중독이란?

  • 국이나 고기찜 등 대량으로 끓이고 난 후 그대로 실온에 방치할 경우에 서서히 식는 과정에서 살아남은 '퍼프린젠스 아포'가 깨어나 증식하여 발생하는 병
  • 아포는 퍼프린젠스균이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끓여도 죽지 않고 휴면 상태로 있다가 세균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아포에서 깨어나 다시 증식하므로 대량으로 조리 후에 서서히 식힌 음식은 반드시 재가열 후 섭취

 

 

 

*퍼프린젠스 식중독의 주요 증상

  • 대체적으로 식사 후 6~24시간의 잠복기를 거친 후 묽은 설사나 복통 등 가벼운 장염 증상

 

*퍼프린젠스 식중독 예방 요령

  • 조리 시 : 육류 등 중심온도 75 ºC 1분 이상 완전히 조리
  • 조리음식 냉각시킬 시 : 차가운 물이나 얼음을 채운 싱크대에 올려놓고 산소가 골고루 들어갈 수 있도록 규칙적으로 저어서 냉각
  • 보관 시 : 가급적 여려 개의 용기에 나눠 담고, 따뜻하게 먹는 음식은 60 ºC 이상, 차갑게 먹는 음식은 5 ºC 이하에서 보관
  • 뜨거운 음식을 냉장보관할 시에는 반드시 식혀서 보관
  • 섭취 시 : 조리된 음식은 가능한 2시간 이내에 섭취하도록 하고, 보관된 음식을 섭취 시에는 75 ºC 이상으로 재가열하여 독소가 파괴되도록 한다.
  • 많은 양의 도시락을 조리/배달하는 음식점이나 급식소에서는 식중독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리 순서와 조리식품 보관방법, 보관 온도 등을 준수해야 한다.

 

이렇게 오늘은 음식물 보관을 제대로 못할 시 발병할 수 있는 '퍼프린젠스 식중독'에 관해 알아보았는데요, 한 가정의 음식을 책임지고 있는 주부로서 유용한 정보인 듯하여 공유하려고 포스팅해봅니다.

모두 건강 잘 챙기시고 늘 힘찬 생활 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